Loading...

직업전망

직업분류 KR07
직업코드 KR070020
직업명 잡지기자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잡지기자는 잡지에 실을 정보를 수집·기획취재하며, 주로 사회, 경제, 정치, 문화 등에서 발생하는 사건·사고를 전문적으로 취재하고 기사를 작성하고 편집한다. ‘잡지’는 「잡지 등 정기간행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서 정치·경제·사회·문화·시사·산업·과학· 종교·교육·체육 등 전체 분야 또는 특정 분야에 관한 보도·논평·여론 및 정보 등을 전파하기 위하여 동일한 제호로 월 1회 이하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책자 형태의 간행물로 정의하고 있다. 잡지기자는 시사잡지, 여성잡지, 레저 관련 잡지 등 특정 분야를 주로 다루는 잡지사에 소속되어 주간, 월간, 분기별로 발간되는 잡지의 내용을 기획하여 취재하고 인터뷰하여 기사를 작성한다. 독자의 제보를 받아 기사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으며, 특정사건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한다. 핵심내용을 파악하여 가장 중요한 정보에 해당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제목과 소제목을 뽑고, 원고를 교정하고 전반적인 편집방향을 결정한다. 규모가 있는 잡지사의 경우 취재기자, 사진기자, 편집 기자 등이 별도로 있으나 소규모 잡지사에서는 소수의 기자가 이런 업무를 모두 담당하기도 한다.

업무 환경

기자의 출퇴근 시간은 일정치 않고 근무시간도 불규칙하다.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언제든지 현장으로 가서 취재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특히 스포츠기자는 경기가 대부분 야간과 주말에 있기 때문에 주말을 거의 경기장에서 보낸다. 기사 마감시간, 타 언론사와의 취재 경쟁, 특종과 기사 아이디어 등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고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사건·사고 등으로 늘 긴장감 속에서 생활한다.

교육/훈련/자격, 적성 및 흥미

채용 시 방송사나 신문사의 경우 대졸 이상, 잡지사의 경우 전문대졸 이상으로 학력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사람을 만나 취재하고 인터뷰하기 때문에 유창한 언변과 대화능력이 있어야 하며, 기사 작성에 필요한 작문실력도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를 냉철하게 바라보는 시각과 언변, 글쓰기 등의 훈련이 필요하다. 인터넷신문의 편집기자는 인터넷의 구조나 웹 관련 프로그램도 다룰 줄 알아야 한다. 전문기자라 하여 의학, 법학, 문학 등과 같이 특정 전문 분야의 지식을 갖춘 기자를 뽑기도 하는데, 전문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전공자이거나 의사, 변호사 등의 전문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 관련 학과: 신문방송학과, 언론정보학과, 정치학과, 사회학과 등 인문·사회계열 학과 등

적성 및 흥미

기자는 독자가 이해하기 쉽고, 편견 없는 기사를 쓸 수 있는 글쓰기 능력이 필요 하다. 따라서 학창시절 논술반, 신문반 등의 동아리 활동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기르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사회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적극적인 사고방식과 정의감, 공정성 등이 요구되며,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의사 교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출퇴근 시간이 일정치 않고, 사건·사고가 나면 현장에 바로 취재를 가야 하는 등 불규칙한 생활을 하므로 건강한 체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경력 개발

경력을 쌓아 방송기자나 주요 일간지 신문기자로 옮기기도 한다.

종사현황
직업전망/관련정보처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잡지기자의 취업자 수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기자 및 언론 관련 전문가는 2019년 약 26천 명에서 2029년 약 29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4천 명(연평균 1.3%)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언론진흥재단(2018)에 따르면, 2017년 잡지기자 종사자 수는 2,898명으로 나타났다. 2014년, 2012년, 2010년 조사 시점의 모집단에 따라 기자의 종사자 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만 2018년의 잡지기자의 수는 최근 10년 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잡지산업 기자직 종사자 현황
기자(기획/취재) 종사자 수 발행종수별 기자(기획/취재) 종사자 수 1종 2종 3종 이상 2017년 2,898 1,960 446 492 2014년 6,894 6,231 400 263 2012년 5,411 3,806 1,038 567 2010년 4,223 3,253 472 498

출처 : 한국언론진흥재단(2018), 2018 잡지산업 실태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2015), 2015 잡지산업 실태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2013), 2013 잡지산업 실태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2011), 2011 잡지산업 실태조사

반면, 잡지의 발행부수는 증가하고 있다. 2010년 6.047부에서 2017년 8,113부로 약 34.1% 증가하였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정기간행물 등록 현황
(단위 : 부)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월간 3,936 4,209 4,512 4,696 4,905 5,046 4,983 4,977 격월간 이하 2,111 2,275 2,416 2,560 2,711 2,853 2,954 3,136 합계 6,047 6,484 6,928 7,256 7,616 7,899 7,937 8,113

출처 : 한국언론진흥재단(2018), 2018 잡지산업 실태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2015), 2015 잡지산업 실태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2013), 2013 잡지산업 실태조사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계가 재편되면서 언론사들도 새로운 사회적 수요에 맞춘 발 빠른 대응이 없으면 도태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과 온라인 체제를 강화하고, 모바일 기기 및 페이스북 등의 소셜미디어를 연계해 기사를 제공하는 등 독자들의 요구에 대응하려는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매체의 난립 및 경쟁 심화, 경기 위축에 따른 기업의 광고비 삭감, 언론사의 경영효율화를 위한 구조조정, 잡지구독률 저하 등으로 인력의 감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IT와 미디어의 융합으로 누구나 글을 쓰고 사진과 영상을 찍어서 인터넷에 올리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취재기자가 편집과 사진촬영, 영상제작까지 담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실제 현장에 나가지 않아도 인터넷이나 화상 생중계로 취재가 가능해지면서 이런 직군의 융합 현상은 기자의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더욱이 인공지능의 발달로 로봇 저널리즘 등이 등장하면서 통계분석 기사를 비롯해 스포츠, 금융, 과학, 기상 등의 특정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기자의 업무를 대체될 것이란 전망은 기자의 고용을 어둡게 한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온라인 매체가 증가하고, 사회구성원의 관심분야와 욕구가 다양하게 확대되면서 사회적으로 신문의 영향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특정 분야에 대한 심층 취재가 가능한 과학기술, 의학, 법률, 환경 등의 전문기자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관련 직업

방송기자, 사진기자, 신문기자, 촬영기자, 편집기자, 취재기자, 편집기자, 신문제작 국장, 뉴스프로듀서 등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4120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813

관련 정보처

한국언론진흥재단 (02)2001-7114 www.kpf.or.kr

한국기자협회 (02)734-9321 www.journalist.or.kr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