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직업전망

직업분류 KR05
직업코드 KR050034
직업명 가정의학과 의사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가정의학과 의사는 질병의 조기발견과 관리, 질병의 예방과 건강상태의 유지를 위해 환자와 그 가족에게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정의학과 의사는 청진기, 맥박측정기, 체온계 등 의료기구 및 진단보조기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검진한다. 환자의 병력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여러 가지 병리검사 및 X-ray 촬영 등을 지시한다. 보고서 및 검사결과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처방하며, 음식조절·위생관리· 운동·질병예방·금연·비만 조절·스트레스 관리 등에 관하여 조언한다. 전염병과 만성질환과 관련된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환자에게 관련 전문의를 소개·추천한다. 가정의학과 전문의의 주요 진료 분야는 건강증진과, 건강검진과, 노인의학과, 스포츠의학과, 갱년기의학과 등이 있다.

업무 환경

대학병원 등 대형병원이나 개인병원에서 실내 진료실에서 주로 근무하고 근무시간도 비교적 규칙적이다. 하지만, 독감과 같은 전염성이 강한 호흡기 질환이 유행하게 되면 환자 수가 급증하게 되어 근무환경에 긴장감이 증가하고 전염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도 높아지게 된다.

교육/훈련/자격, 적성 및 흥미

의예과 2년 및 의학과 4년, 총 6년으로 구성된 기존의 의과대학을 졸업하여 의학사 학위를 취득하거나 전공에 관계없이 일반학과를 졸업한 후 총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의사 국가면허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면허 취득 후 인턴과정 없이 레지던트과정 3년을 거쳐 가정의학과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될 수 있다. 의학전문대학원 진학을 위해서는 적성 및 인성검사 유형의 의학교육입문검사인 MEET(Medical Education Eligibility Test)에 응시해야 하며, 각 대학원에서 요구하는 일부 교과목을 이수하거나 평점과 외국어 능력, 사회봉사실적 및 면접 등의 다양한 평가를 거쳐야 한다. 대학에서 이과 및 공학계열을 전공한 사람이 의학전문대학원 입학 시 좀 더 유리할 수 있다. 2003년 처음 의학전문대학원 체제가 도입된 이후 2009년 전국 총 41개의 의과대학 중 27개 대학이 의학전문대학원 체제를 도입하였으나 2010년 대학이 자율적으로 의학전문대학원과 의과대학을 선택할 수 있게 되면서 2011년 5개교(강원대, 제주대, 차의과학대, 건국대, 동국대)만 의학전문대학원을 선택했고, 이 중 동국대는 2019년, 제주대는 2020년까지만 의학전문대학원을 운영하고 이후부터는 의과대학으로 전환되었다.

■ 관련 학과: 의예(학)과, 의학전문대학원

■ 관련 자격: 의사 국가면허(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전문의(대한의학회)

적성 및 흥미

다른 사람들을 치료하는 활동을 선호하는 사회형 흥미유형과 물리적, 생물학적 혹은 문화적 현상들에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조사나 연구 활동을 선호하는 탐구형 흥미유형이 적합하다. 생명 중시를 실천하는 과정에 책임과 진취성, 꼼꼼함, 인내력, 분석적 사고력 그리고 신뢰성이 요구된다.

경력 개발

단독 또는 공동으로 의원을 개원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병원, 클리닉센터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대학 및 각종 연구소, 언론업체나 제약회사, 보험사 등에 진출할 수 있다.

종사현황
직업전망/관련정보처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가정의학과 의사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의사(전문의+일반의)는 2019년 약 83천 명에서 2029년 약 105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22천 명(연평균 2.4%)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가정의학과 의사 면허등록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먼저, 대한의학회의 연도별 가정의학과 전문의 자격취득자의 수를 보면 2018년 290명, 2019년 332명, 2020년에는 303명으로 최근 3년간 연평균 308명이 배출되었고,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문과목별 전문의 현황에 따르면 가정의학과 의사 수가 2016년에 5,897명에서 2020년에는 6,887명으로 5년 사이에 약 14.3%가량 증가하였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연도 2016 2017 2018 2019 2020 ■ 가정의학과 전문의 자격취득자 278 299 290 332 303 ■ 가정의학과 의사 면허등록자 5,897 6,172 6,413 6,693 6,887
가정의학과 의사 자격취득자 및 면허등록자 수

자료 : 통계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2020)

소득 상승, 의료기술 발달, 인구 고령화, 건강/생명 중시 의식개선, 건강보험 발전 등이 우리나라 의료서비스 수요를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정복되는 질병의 폭이 넓어지고 있고, 인구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에 의존하는 인구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과거 육체적 질병 치료 위주에서 예방, 내면 심리치료, 외모 충족욕구, 재활 등의 사전 예방적이고 포괄적인 의료서비스 수요가 증대되어 의사수요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특히, 고령인구의 급증에 따라 만성질환과 중증질환이 꾸준히 늘어날 것이므로 가정의학과 전문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의 발달된 의료기술과 의료서비스 수준도 국내는 물론 한류문화와 함께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해외로부터의 의료수요 및 의사수요를 증대시키는 촉진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로 입국하는 의료 관광객의 의료수요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나라 의료기술의 선진화로 국내 병원과 의사가 중국, 미국, 중앙아시아 및 중동 등 해외로 진출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최근 병원 수련의를 중심으로 장시간 근로 현상이 지속되고 있어 의사인력의 적정배치 및 의료수가 조정의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OECD 건강통계(Health Statistics)’에 의하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4명으로 OECD 회원국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평균인 3.5명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다. 국제비교를 하면 국민건강을 위해서 우리나라에 의사가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의료 분야에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예: IBM의 Watson)의 발전과 의료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개업의의 폐업이나 지역 재배치 그리고 개업의에서 임금을 받고 근무하는 의사로의 전환도 더욱 빈번해질 전망이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종합하면, 고령인구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의 영향에 따라 향후 10년간 가정의학과 의사 취업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직업

전문의사, 일반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301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411

관련 정보처

보건복지부 129 www.mohw.go.kr

대한의사협회 1566-2844 www.kma.org

(사)대한병원협회 (02)705-9200 www.kha.or.kr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1544-4244 www.kuksiwon.or.kr

대한의학회 (070)7708-7524 exam.kams.or.kr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