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직업전망

직업분류 KR05
직업코드 KR050010
직업명 임상병리사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임상병리사는 보건의료기관의 진료지원부서에서 일하며 다양한 의학적 분석법을 통해 인체로부터 유래된 혈액, 소변, 체액, 조직 등의 검체를 살펴 질병의 원인 규명과 질병 예방을 도모하고, 치료 경과를 알아본다. 보건의료 관련 연구기관에서 의생명과학 분야의 기초 및 임상 연구와 개발을 담당한다. 의사는 환자 진료 시 먼저 문진과 진찰 등을 통해서 이상 여부를 살피는데,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임상병리사에게 질병과 관련된 의화학적 검사를 의뢰하고 검사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게 한다. 임상병리사는 인체로부터 유래된 다양한 가검물을 검사하고 분석하여 건강 및 질병의 상태를 밝히기 위해 매우 다양한 종류의 검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병리학·미생물학·생화학·기생충학 ·혈액학·혈청학·법의학·요화학(尿化學)·세포병리학,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한 가검물(可檢物) 등의 검사 및 생리학적 검사(심전도·뇌파·심폐기능·기초대사나 그 밖의 생리기능에 관한 검사를 말한다) 등이다. 검사방법은 주로 검사물(검체)에 반응하는 시약을 사용해 반응 정도를 측정하거나 이상 세포 및 조직을 슬라이드로 만들어 현미경으로 세포의 변화를 발견하게 된다. 과거에는 모든 진단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뤄졌으나, 현재는 첨단 검사장비 및 분석 장비 덕분에 업무가 자동화, 첨단화되어 검사가 한층 신속해졌다. 임상병리사는 신종플루가 유행할 당시 유전자 증폭기술을 통해 진단을 내리는 데 기여하였다. 이처럼 유전체 및 단백질체의 지도를 활용해 유전질환 및 질병의 발현 정도를 예측하는 등 질병 예방 및 관리에도 관여하고 있다. 담당 업무 범위가 각 세포 단위를 넘어 핵산과 유전체 수준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관련된 검사를 전담하고 있다. 임상병리사는 분야에 따라 진단혈액검사, 임상미생물검사, 수혈의학검사, 일반화학검사 및 특수화학검사, 분자면역혈청검사, 분자유전검사, 종양표지자검사, 약물검사, 알레르기검사, 무기질검사, 세포유전검사, 현장검사, 감염관리업무 등을 하며, 심전도검사, 뇌파 및 수면뇌파 검사, 심폐기능검사, 기초대사검사, 근전도검사 등의 기타 생리학적 검사도 담당하고 있다. 이 외에 조직검사와 세포병리검사, 방사선동위원소를 이용한 핵의학검사 등을 실시하며, 이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시약 및 장비도 관리한다. 진출 분야에 따라 업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질병의 진단과 원인을 규명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이 외에도 실험실에서 약물에 대한 표본을 추출하기도 하고, 약물의 치료 효과 등을 검증하기 위해 동물실험과 관련된 연구업무를 하기도 한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검사법이나 분석법 등을 평가하여 개선하거나 새로운 검사법을 연구하기도 한다.

업무 환경

다양한 환경에서 근무하지만 대체로 보건의료기관 내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핵의학과 등의 부서에서 검사물(검체)을 분석한다. 임상병리사가 다루는 검사물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혐오적일 수 있다. 또한 검사실에서 세균이나 화학약품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소독가운 및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최근 검사실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환기가 잘 되는 쾌적한 공간이 갖춰지고 있다. 순환기내과 검사실, 호흡기내과 검사실, 신경과 검사실 등 생리학적 검사를 수행하는 부서는 검사의 특수성 및 환자의 보호를 위해 독립된 공간이 요구된다. 응급환자를 위해 2교대 및 3교대 근무를 해야 할 때도 있으며, 시간이 촉박하더라도 정확한 검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을 수 있다. 특정 분야에 있어서는 검사물을 직접 채취하기도 하며 생리학적 검사 분야는 환자를 직접 접하여 관련 검사를 수행하기도 한다.

교육/훈련/자격, 적성 및 흥미

임상병리학과는 전국 4년제 대학교에 29개가 있고 전문대학(2~3년제)은 39개 있다. 임상병리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임상병리사 국가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면허 취득 후 소정의 교육과정 및 시험을 거쳐 대한임상병리사협회에서 해당 분야(혈액, 수혈, 미생물, 임상화학, 면역·혈청, 조직세포, 핵의학, 공중보건, 생리학, 임상 등)에서 전문성을 인정하여 발급하는 전문임상병리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 관련 학과: 임상병리(학)과

■ 관련 자격: 임상병리사 국가면허(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적성 및 흥미

자연과학에 대한 흥미, 탐구정신, 창의정신, 논리적 사고, 분석력이 요구된다. 연구와 분석, 실험을 위해 오랜 시간 집중해야 하므로 끈기와 인내, 소통능력이 요구된다. 의생명과학자로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연구, 논문 작성에 필요한 창의력, 윤리성, 언어표현능력 등이 요구되며, 통계분석 능력(SAS, SPSS 프로그램 운용 등)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업무의 특성상 결과물의 빠른 평가로 인한 심리적 부담을 극복해야 하며, 관련 분야에 관한 심층적인 탐구 능력이 있어야 한다.

경력 개발

보건의료기관뿐 아니라 보건 관련 국공립기관, 제약회사(품질관리과, 합성과, 개발실), 생명(공)과학 관련 연구소, 의료(기기) 관련 업체, 의과대학 및 대학병원 연구소, 임상검사센터 등에서 근무할 수 있다. 보건직 공무원 시험에 응시하는 경우도 있으며 국립 검역소, 국립보건원, 과학수사연구원, 출입국관리소, 전문 임상검사센터 등으로 취업하기도 한다. 국제 자격을 취득하여 국제임상병리사로서 해외에 취업하거나 한국국제협력단 및 민간의료봉사단, 도핑검사관 등으로 해외에 진출할 수도 있다. 각 보건의료기관 및 분야에 따라 승진제도가 다양하나, 대체로 ‘사원→주임→대리(파트장, UNIT MANAGER, 책임 또는 수석)→팀장(부장)’의 단계를 밟게 되며, 기관별 평가방식에 따라 승진한다. 임상병리사는 한 가지 영역의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지만 영역간 순환을 통해 다양한 검사업무를 수행하면서 업무경력을 쌓는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성별-남성 27.9%, 여성 72.1% / 연령-20대이하 30.2%, 30대 30.7%, 40대 27.4%, 50대 10%, 60대이상 1.7% / 학력-대학원졸 이상 4.5%, 대졸 37.4%, 전문대졸 54.2%, 고졸이하 3.9% / 임금-하위(200만원) 25%, 중위(250만원) 50%, 상위(310만원) 25% (자료:통계청(2017), 지역별고용조사

임상병리사는 여성비율이 높고, 40대 이하 근로자의 비율이 높다. 학력은 전문대졸인 경우가 많으며, 임금 중위수는 월 250만 원으로 나타났다.
직업전망/관련정보처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임상병리사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임상병리사는 2019년 약 31천 명에서 2029년 약 37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6천 명(연평균 1.6%)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임상병리학과가 개설된 대학은 3년제와 4년제를 합하면 약 70여 개가 되는데 매년 임상병리 면허취득자가 약 2,200명 이상 배출되고 있다.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합격자 통계에 의하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3년간 연평균 약 2,216명이 임상병리사 면허를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임상병리사 면허등록자 현황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등록 48,055 49,980 52,081 54,230 56,238 58,665

자료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2019

한 해에 배출되는 임상병리사 면허취득자가 많지만, 현재 취업처가 많지 않아 일자리 경쟁은 치열한 편이다. 임상병리사들은 임금과 근로조건, 수행업무가 전문적인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 근무를 희망하지만, 해당 일자리는 한정되어 있다. 단순한 검사는 수탁검사기관 등 전문검사실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병원 내 채용보다는 검사기관의 채용이 늘어나고 있다. 한편, 정보통신 및 기술발전으로 인한 자동화 시스템 및 검사기기 확대, 검사 기법이나 속도의 향상 등은 임상병리사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그러나 의료보건서비스에 대한 국민의식 고조, 의료서비스체계 정비로 인한 서비스 질 향상, 바이오제약·의료기기 등에 대한 정부 육성 정책 등으로 인해 임상병리사에 대한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유전자 검사와 백혈병이나 소아암 등의 치료를 위한 제대혈 실험 등 전문적인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및 검사가 진행되어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종합하면, 건강검진 등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건강보험 적용범위 확대 등의 영향에 따라 향후 10년간 임상병리사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직업

방사선사, 간호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의료장비기사, 의지보조기기사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306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451

관련 정보처

보건복지부 129 www.mohw.go.kr

(사)대한임상병리사협회 (02)3291-5435 www.kamt.or.kr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1544-4244 www.kuksiwon.or.kr

 
목록